한국 근대음악사와 한국 근대기독교사의 관점에서 한국 교회음악의 위치와 영향 및 역할을 밝힌 책.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는 한국 서양음악 수용사와 한국 기독교 수용사의 일부이기도 하다. 이 책은 곧 한국 근대음악사에 대한 연구인 동시에 한국 근대기독교사의 연구이다. 찬송가를 중심으로 근대 교회음악 수용과정에서 벌어졌던 많은 쟁점들을 정리하고 있다.
*목차
0.서설
1.초기 찬송가의 전래 과정
2.초기 찬송가의 사회 문화적 영향
3.초기 선교에 있어서 교회 음악의 영향
4.근대 교회음악의 한국화(토착화) 시도
5.근대의 교회음악관
6.근대 찬송가의 노랫말 번역상의 문제와 번역 방법
7.근대 찬송가를 둘러 싼 교회의 연합과 갈등
8.근대 민족 교회의 형성과 찬송가
9.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찬송가 통제
10.초기 찬송가의 수용 경로
11.근대 찬송가 해설의 변화와 그 의미
12.근대 찬송가집의 편찬자, 번역자
13.근대 찬송가집의 수록곡 장르
> 상품 상세정보